본문 바로가기

한글문화연대1472

[기쁜 일] 한글문화연대, '한글 발전 유공자'로 선정되어 대통령 단체 표창 받다. ▲ 한글 발전 유공자 대통령 단체 표창▲ 2020년 10월 9일 에서 상을 받고 있는 (왼쪽부터) 김명진 부대표, 이건범 대표 (출처: 한국방송) 2020년 10월 9일 오전 10시 서울 경복궁 수정전 앞에서 열린 574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한글문화연대가 한글‧한국어의 발전과 보급에 헌신한 공을 인정받아 '한글 발전 유공자'로 선정되어 대통령 단체 표창을 받았습니다. 한글문화연대는 오랫동안 영어와 로마자, 한자 남용을 줄이고 어려운 공공언어를 순화하는 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574돌 한글날 경축식 주제는 '우리의 한글, 세상의 큰글'이었으며, 애민정신을 바탕으로 창제된 한글의 우수성을 전 세계에 널리 알리자는 의미입니다. 2020. 10. 15.
[마침] 2020 한글날 기림 학술대회 2020년 한글날 기림 학술대회(한글문화연대) ㅇ 주제: 공공언어 수월화의 사회철학을 세운다. ㅇ 때: 2020년 10월 10일 토요일 오전 11시 ~ 오후 5시 ㅇ 곳: 서울대호암교수회관 2층 마로니에 / 유튜브 ‘한글주간’ 생중계 ㅇ 주최: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 한겨레말글연구소 ㅇ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ㅇ 다시 보기: https://www.youtube.com/watch?v=O7LIyRHDS8c 구분 시간 발표 주제 발표자 토론자 기조 발제 11:00 ~11:20 공공언어와 인권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 없음 발표1 11:20 ~12:00 한국어의 다양성과 언어 민주주의 강미아, 유타밸리대 교수, 교육학 김선철, 국립국어원 공공언어과장 발표2 12:00 ~12:40 영미에서 시민의 권리를 위한 쉬.. 2020. 10. 15.
킹메이커 -> 핵심조력자 킹메이커 -> 핵심조력자 ‘킹메이커’의 쉬운 말로 ‘핵심조력자’ 선정- 한글문화연대 말모이 모임 ‘킹메이커’라는 외국어를 대신할 우리말로 ‘핵심조력자’가 뽑혔다. 공공기관이나 언론이 사용하는 어려운 말을 쉬운 말로 다듬기 위해 꾸려진 한글문화연대 말모이 모임이 9월 28일부터 10월 12일까지 ‘킹메이커’의 쉬운 말을 논의한 결과였다. ‘킹메이커(Kingmaker)’란 '왕을 만든 사람'이라는 뜻으로 다른 사람을 대통령 등과 같은 지도자로 집권시킬 수 있는 정치적인 능력과 영향력을 가진 사람을 뜻하는 말이다. 최근 김무성 전 미래통합당 의원이 10월에 있을 대선주자 발굴에 앞서 자신을 '킹메이커'라고 자처하면서 언론에서도 '킹메이커'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하였다. ‘킹메이커’를 대신할 말로 총 6개 단어가.. 2020. 10. 15.
한글 아리아리 791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791 2020년 10월 8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알림] 2020년 한글날 기림 학술대회(10/10)1. 행사명‘공공언어 개선의 사회철학 세우기’ 학술대회 2. 학술대회 얼개ㅇ 주제: 공공언어 수월화의 사회철학을 세운다.ㅇ 때: 2020년 10월 10일 토요일 오전 11시 ~ 오후 5시ㅇ 곳: 서울대호암교수회관 2층 마로니에 / 유튜브 ‘한글주간’ 생중계ㅇ 주최: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 한겨레말글연구소ㅇ 후원: 문화체육관광부ㅇ 주요 일정 구분시간발표 주제발표자토론자기조 발제11:00 ~11:20공공언어와 인권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없음발표111:20 ~12:00한국어의 다양성과 언어 민주주의강미아, 유타밸리대 교수, 교육학김선철, 국.. 2020. 10. 9.
나태주체 코로나19로 전세계가 힘들어하는 2020년 여름, 우리말가꿈이는 문득 그런 생각을 합니다. '모두가 힘들때 가장 힘이 되어주는 건 무엇이었을까?' 그러다 문득 '내 마음을 울리는 광화문 글판은?'이라는 질문에 이 1위를 차지했다는 걸 기억해냈습니다. 방향이 정해지자마자 바로 공주풀꽃문학관에 연락해 나태주 시인님의 손글씨를 만들고 싶다고 제안합니다. 우리말가꿈이 18기 볕뉘 모둠에서 제안했고, 문자동맹에서 기꺼이 우리말과 한글을 지키는 데에 힘써주신다는 뜻에 함께해주셔서 공공서체가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예상보다 오래 걸렸지만 볕뉘 모둠은 포기하지 않고 활동기간이 끝났음에도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서체 제작과 배포에 힘을 쏟았습니다. 이 자리를 빌어 고맙다는 말씀 전합니다. 나태주체가 만들어지고 나서 우리말가.. 2020. 10. 9.
[자료집] ‘공공언어 개선의 사회철학 세우기’ 학술대회 2020년 한글날 기림 '공공언어 개선의 사회철학 세우기' 학술대회(한글문화연대) 자료집입니다. [자료집 내려받기] 1. 행사명 ‘공공언어 개선의 사회철학 세우기’ 학술대회 2. 학술대회 얼개 ㅇ 주제: 공공언어 수월화의 사회철학을 세운다.ㅇ 때: 2020년 10월 10일 토요일 오전 11시 ~ 오후 5시ㅇ 곳: 서울대호암교수회관 2층 마로니에 / 유튜브 ‘한글주간’ 생중계 ㅇ 주최: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 한겨레말글연구소ㅇ 후원: 문화체육관광부ㅇ 주요 일정 구분 시간 발표 주제 발표자 토론자 기조 발제 11:00~11:20 공공언어와 인권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 없음 발표1 11:20~12:00 한국어의 다양성과 언어 민주주의 강미아, 유타밸리대 교수, 교육학 김선철, 국립국어원 공공언어과장 발표2.. 2020. 10. 8.
[인터뷰]/[뉴시스] 이건범 대표 "쉬운 우리말은 차별의 위험 줄여줍니다" - 2020.09.14. (중략) "'한글'은 한민족이 쓰는 언어를 표기하기 위해서 쓰는 문자의 이름이고, '한국어'는 전통적으로 한민족이 쓰는 언어를 이르는 말이라는 점. 글자 자체에 초점을 둔 말이라면 '한글'이 적합하고, 언어 자체에 초점을 둔 말이라면 '한국어'가 적합합니다." (중략) "쉬운 우리말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국민의 알권리가 좌우됩니다. 사람이 정당한 대접을 받고 살아가는데 말이 새로운 관점을 줄 수 있어요. 쉬운 말일수록 혐오, 차별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고 상대방에게 쉽게 공감을 할 수 있습니다. 외국어 능력이라는 것은 가려져 있는 차별이에요. 드러나지 않는 차별을 거대하게 조장하는 거죠. 공정한 것이 중요한데, 쉬운 우리말은 그 차별의 위험을 줄여줍니다." 출처: 본 기사는 뉴시스(2020.09.14).. 2020. 10. 8.
빅텐트 -> 대연합 빅텐트 -> 대연합 ‘빅텐트’의 쉬운 말로 ‘대연합’ 선정- 한글문화연대 말모이 모임 ‘빅텐트’라는 외국어를 대신할 우리말로 ‘대연합’이 뽑혔다. 공공기관이나 언론이 사용하는 어려운 말을 쉬운 말로 다듬기 위해 꾸려진 한글문화연대 말모이 모임이 9월 21일부터 9월 28일까지 ‘빅텐트’의 쉬운 말을 논의한 결과였다. ‘빅텐트(Big tent)’란 본래 큰 천막으로 된 서커스단 텐트를 가리키는 말이었지만, 주로 정당이나 정치집단이 다양한 집단이나 이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넓은 범주의 지지자를 얻어낼 수 있는 경우를 칭할 때 쓴다. 또한 ‘빅텐트’는 기사제목 “현대차(車), 삼성 이어 LG와 동맹 강화…`배터리 빅텐트` 시동”과 같이 기업끼리의 협력을 통칭하기도 한다. ‘빅텐트’를 대신할 말로 총 6개 단어.. 2020. 10. 8.
[보도자료] 574돌 한글날, 우리말 사랑꾼, 해침꾼 뽑아 574돌 한글날, 우리말 사랑꾼, 해침꾼 뽑아 -우리말 사랑꾼에 농촌진흥청 대변인 성제훈과 서울대 재활의학과 교수 정선근을, 해침꾼에 문화방송 예능 뽑아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에서는 2020년 우리말 사랑꾼으로 농촌진흥청 대변인 성제훈과 서울대 재활의학과 교수 정선근을, 해침꾼에 문화방송 예능 를 뽑았다. 1) 우리말 사랑꾼 ○ 농촌진흥청 대변인 성제훈성제훈 님은 농촌진흥청 공무원으로서 공공기관의 우리말 바로쓰기 운동에 앞장서 왔다. 그는 2003년부터 직장 동료에게 우리말을 쓰자는 취지로 우리말 상식을 담은 ‘우리말 편지’를 보내기 시작하여 현재는 수만 명에게 ‘우리말 편지’를 보내고 있다. 또한 여러 공공기관에서 ‘우리말 바로 쓰기’ 강의를 하고, 소속 부서에서 쓰는 경조사 봉투의 한자를.. 2020. 10.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