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855

김종영 미술관, 금보성 아트 센터 [우리 나라 좋은 나라-10] 김영명 공동대표 한두 달 전에 시내 어느 곳에서 고갱 전을 한다기에 아내와 함께 보러갔다. 아니 보러가기 위해 나섰다고 해야겠다. 그런데 을지로 3가에 이르니 길이 막혀 차가 아예 움직이지 못했다. 토요일 저녁 무렵이어서 막힐 줄은 알았지만, 그 정도일 줄은 몰랐다. 하다 하다 못해 불법 유턴을 하여 돌아가기로 마음먹었다. 이왕 나선 길이니 저녁이나 먹자 하여 근처의 냉면 집으로 갔다. 이름 하여 오장동 냉면이다. 젊었을 적부터 명성을 익히 들어왔고 근처를 왔다 갔다 한 적은 많았지만 막상 들어가서 먹어보기는 처음이었다. 비빔냉면이었는데, 특이한 점은 빈대떡 이런 건 없고 그냥 냉면만 판다는 점이었다. 그것 하나로 수십 년 동안 승부를 걸어 왔으니 대단하긴 대단하였다. 맛이.. 2013. 11. 21.
거꾸로 쓰고 있는 말들 [아, 그 말이 그렇구나-17] 성기지 운영위원 주위에서 보면, 흔히 ‘자문’이란 말을 “전문가에게 00에 대해 자문을 구하려고 한다.”라든지, “자문해 주십시오.”, “자문을 받다.”처럼 사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자문을 구하다’나 ‘자문을 받다’는 모두 본디 의도를 거꾸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제대로 고쳐 쓰면, “전문가에게 00에 대해 자문을 하려고 한다.”로 해야 하고, “자문해 주십시오.”가 아니라 “자문에 답변해 주십시오.”로 표현해야 바른 말이 된다. ‘자문을 받다’라는 말도 “자문에 대답을 받다.”로 바로잡아야 한다. 이 ‘자문’이란 낱말은 남에게 의견을 묻는다는 뜻이다. 곧 ‘질문’이라는 말과 뜻과 쓰임이 거의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사사 받다’도 이처럼 자기도 .. 2013. 11. 21.
[알림](11/26)말 문화 토론회 -말, 사회 통합과 신뢰의 자본 우리 연대의 이건범 대표가 대통령 직속 국민대통합위원회가 주최하는 토론회에서 "한국사회 말 문화, 진단과 대책"에 대해 발표를 합니다. "말, 사회 통합과 신뢰의 자본"이라는 큰 주제 아래 열리는 이 토론회는 우리 사회의 말 문화에서 나타나는 여러 병리 현상을 진단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자리입니다. 자칫 '뜨거운 감자'가 될지도 모를 주제이므로 많은 시민의 성숙한 지혜를 모아야 할 것 같습니다. 바쁘시더라도 시간 내어주세요. 고맙습니다. ■ 때: 2013년 11월 26일(화) 09:00 ■ 곳: 한국언론진흥재단 국제회의장(20층) 2013. 11. 15.
[영상] 한글 간판 이야기 한글날을 맞아 한글문화연대/우리말 가꿈이(대학생 동아리)가 간판에 관한 영상을 만들었습니다. * 홍대 속 한글 간판 찾기 -디자인과 효용성을 중심으로 2013. 11. 14.
올바른 높임말 붙임딱지 사람을 제대로 높일 때 나도 존중받습니다. 높임말은 사람을 존중하는 우리말의 아름다운 표현법입니다. 2013. 11. 14.
한글 아리아리 450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450 2013년 11월 14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알림] (11/27)11월 알음알음 강좌 -중국의 꿈과 신조어 ■ 주제: 중국의 꿈과 신조어 ■ 강사: 변지원(한국방송통신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조교수, 프랑스 사회과학고등연구원 박사) ■ 때: 2013년 11월 27일(수) 저녁 7시 30분 ■ 곳: 공간 활짝(마포역 2번출구 또는 공덕역 1번출구) ■ 수강료: 1만 원(단, 한글문화연대 회원(정모람)과 학생은 공짜) ▲ 중국 역시 외래어(특히 영어)의 홍수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데, 한자로 표현해야 하는 한계 때문에 나름의 어려움이 있습니다. 또한 "중국의 꿈(중국몽)"이란 말은 중국의 시진핑 중국 주석이 사용한 이후 중국과 외신들이 .. 2013. 11. 14.
[영상]언어도 인권이다-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 시민의 삶을 규정하는 공공언어와 우리 일상의 인권의식 살펴보기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 * 이 영상은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가 2013년 9월 10일 한국인권재단에서 하는 시민인권교육 에서 강의한 영상입니다. 2013. 11. 14.
우리는 왜 행복하지 않을까? [우리 나라 좋은 나라-9] 김영명 공동대표 한국 사람들은 도무지 행복하지 않다. 세상 여러 나라 사람들의 행복도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한국 사람들이 느끼는 행복도는 중하위를 맴돌고 있다. 사람들이 가장 행복하다고 느끼는 나라들은 노르웨이, 덴마크 같은 북유럽 나라들이거나 아니면 바누아투, 부탄처럼 사람들이 잘 모르는 조그만 나라들이다. 북유럽 선진국들에서는 복지 제도가 잘 되어 있고 인구 밀도가 낮아 사람들의 부대낌이 덜하고 민주주의가 잘 시행된다. 바누아투, 부탄 같은 나라들은 아직 문명의 때가 덜 묻고 사람들 사이의 경쟁이 별로 없는 조그만 나라들이다. 그런데 바누아투, 부탄은 발음이 비슷하네. 우리도 이름을 대한민국에서 부투민국으로 바꾸면 사람들이 행복해지려나… 이런 말도 안 되는 소리를 하는 것.. 2013. 11. 14.
잠에 관한 우리말들 [아, 그 말이 그렇구나-16] 성기지 운영위원 초겨울로 들어서면서 해오름이 늦어져 새벽잠이 깊어진다. 새벽이 되어도 창밖이 어두우니, 이불을 걷고 벌떡 일어나기가 쉽지 않다. 아무래도 겨울은 깊은 잠이 그리운 계절인가 보다. 잠 가운데 으뜸은 ‘꽃잠’이라 할 수 있다. 사전에서는 ‘꽃잠’을 “신랑 신부가 첫날밤에 함께 자는 잠”이라고 황홀하게 그려놓고 있지만, 이 말의 본디 뜻은 “깊이 든 잠”이다. 깊이 잠들어야 건강한 법이니, 꽃잠은 말 그대로 건강의 꽃이다. 이 꽃잠보다 더 깊이 잠드는 것을 ‘왕잠’이라 한다. “아주 오래 깊이 드는 잠”이란 뜻이다. 첫 휴가 나온 아들이 꼬박 스물네 시간을 잠들어 있다가 깨어나서는 아까운 하루를 까먹었다고 징징댄다. 그것이 왕잠이다. 이 왕잠보다도 더 깊이 잠들.. 2013. 11. 14.